schd 배당 ETF 제2의 월급이 궁금하신가요?
보시기 전에 시간이 바쁜 이웃님들께서는 빠르게 스크롤을 내리시어 제가 작성한 파워포인트 이미지의 내용만 확인하셔도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에서 배당 ETF로 유명한 schd ETF를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현대 미국 투자 시장에서 배당은 투자자들에게 재정적인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수입원을 제공하여 제2의 월급으로 떠오르는 것 같아요.
그 중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는 고배당 수익률과 안정적인 자산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ETF로, 2020년 초부터 우리나라에서도 큰 관심을 받는 ETF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해당 ETF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 공유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합니다.
SCHD는 Charles Schwab에서 제공하는 미국 주식 시장의 고배당 주식에 투자하는 ETF로 2011년 10월 20일에 상장하였습니다. Charles Schwab 자산 운용사에 대해서는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3월 1일 기준 주당 가격은 $77.64이며, 2024년 이후 수익률은 1.73% 정도 되겠습니다. 총보수 비용은 0.06%로 제가 공부한 미국 ETF 기준으로는 낮은 보수 비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보수 비용은 상대적인 관점이기에 제 기준으로 설명해 드린 점 양해 부탁드릴게요!)
Yahoo financial 기준 거래량을 3,220,116 정도 되며, 최근 3개월 거래량인 3,903,951과 비교했을 때, 소폭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상장 주식 수는 6,880,000,000주가 되겠습니다.
시가 총액은 $53,416,32M 규모이며, 배당금 주기는 분기별로 배당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배당일은 2023.12.06일로 주당 $0.7423원이 배당되었습니다.
현재 schd의 섹터 구성은 산업재, 헬스케어, 금융, IT, 필수 소비재, 경기 소비재, 에너지, 기타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1년과 2022년의 섹터를 살펴보았을 때는 금융 쪽 섹터가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현재 시장 트렌드에 맞춰 산업재와 헬스케어 쪽의 비중이 증가하여 현재는 산업재, 헬스케어, 금융의 비중이 거의 동일한 것을 할 수 있었습니다.
2023년에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사건과 미국의 장기적인 고금리 레이스의 영향으로 금융 섹터의 실적이 밝지 못한 상황인 걸 감안할 때, 금융 쪽의 섹터 비중이 다소 높지 않겠냐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부동산 섹터의 경우 경기 변화에 민감한 종목이기에 2024년 현재에도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제외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역시 경기 민감한 종목인 에너지 섹터의 비중도 낮은 편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주요 기업 TOP 10을 확인해 본 결과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5.10%를 차지하고 있는 브로드컴이 되겠습니다. 그 뒤로 애브비와 머크 앤 코가 각각 4.69%와 4.64%로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섹터 구성으로만 보았을 때는 1위 기업이 산업재, 헬스케어, 금융 섹터에서 나올 것으로 기대하였지만, 높은 배당 수익률, 재무적인 안정성,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 그리고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IT 섹션으로 포함되어 있는 브로드컴이 1위를 차지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특히 13년 연속 배당 금액이 인상된 부분은 경이롭다는 생각이 들어요!
TOP 3 기업에 대한 설명은 상단 이미지를 참고 부탁드리겠으며, TOP3 기업에 대한 상세 분석은 학습이 마치는 대로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배당금액 부분에서 바라본 SCHD는 2012년 1분기 배당금액부터 2023년 4분기 배당금액 금액까지 매년 증가 하였으며, 2023년 배당금액은 $2.66으로 작년 대비 $0.1 정도 증가하였습니다. 참고로 schd ETF는 분기별로 배당 금액이 배당되기에 2023년도의 배당금액은 1~4분기의 배당금액의 합산 금액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배당 성장률은 3.9%로 최근 5년간의 배당 성장률인 13.22%와 지난 10년간의 배당 성장률인 11.51%보다 낮아진 점은 옥에 티라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제 입장에서 생각해 볼 때,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사태와 고금리로 인해 2022년의 배당금액과 거의 같을 것으로 전망했었는데 이렇게 바라보았을 때는 선방하지 않았나 생각이 들어요!
2023년과 2024년 비교해 보았을 때 -1.62%로 소폭 하락하였기에, 주식 성장률을 기대한 투자자분들에게는 다소 아쉬움이 가득했던 한해였을 것 같아요. 그래도 23년 9월 $66.43까지 내려갔었던 걸 생각했을 때 많이 회복된 것으로 되고 2024년 1월 2일 개장 이후 현재 1.73%까지 올랐기에 2024년에는 작년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현재 미국에서 가장 큰 이슈인 미국 대선과 금리 인하 이슈 그리고 비트코인의 앞으로의 방향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제가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각해 보았을 때는 최소 작년보다 떨어지지 않을 거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해 보겠습니다.
1,000만원 투자 시 예상 되는 수익 금액은?
그러면 1,000만원을 schd ETF 구매를 했다면 예상되는 수익 금액은 어떻게 될지 단순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단순 계산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이용하시는 증권사의 수수료에 따라 주식 매매 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며 원화를 미국 달러로 환산하는 과정에서도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기에 단순 계산으로 표현하였습니다.
1,000만원을 2023년 1월 2일 환율인 1,273원으로 계산했을 때, 약 102개의 schd ETF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102개의 주식을 추가 매입 없이 1년가 운행 하였을때 분기별 수익 금액은 1분기 $60.843, 2분기 $67.799, 3분기 $66.759, 4분기 $75.714로 총합산 금액은 $271.115가 되겠습니다.
현재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 높은 이율을 지급하는 파킹 통장인 미래에셋 네이버 통장과 비교해 보았을 때, 1,000만원 입금 시 매일 972원의 이자가 지급되며 이를 1년으로 환산하게 되면 354,780원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71.115를 현재 환율로 계산하였을 때, 362,202원으로 계산되기에 약 7,500원 더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었는데, 다소 아쉽긴 하지만 작년 역대 가장 적은 배당 상승률이었던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올해는 더 많은 금액을 얻을 수 있지 않겠냐는 예상을 조심스럽게 해보았습니다.
위와 동일한 조건으로 102개의 schd 배당 ETF를 23년 1월 2일 구매 후 24년 1월 2일 매각을 하였을 때 금액을 계산해 보면 매입 금액은 $7,918.26이 되고, 매매 금액은 $7,789.74로 약 -$128.52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계산되었습니다.
배당금 계산과 주가 매매 차익을 고려해 보았을 때, 2023년 schd 배당 ETF 총수익은 $142.595로 생각보다 높지 않은 금액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작년 주식 성장성에서 아쉬운 모습 보였기에, 생각보다 낮은 이익을 거둘 것으로 계산되지만 schd ETF의 성장성은 더욱 좋을 것으로 판단되고 그에 따른 배당금액 역시 증가한다고 판단되기에 2024년의 전망은 좋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보겠습니다.
schd 배당 ETF는 경쟁력 있는 운용 비용과 높은 배당 수익률 그리고 포트폴리오 구성의 다양화를 통해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가진 이웃님들에게 좋은 투자 상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저처럼 schd 배당 ETF를 통해 제2의 월급을 만들고 싶은 투자자분들에게는 적극 권유를 드리지만 조금 더 공격적이고 MDD를 고려하지 않는 투자자분들에게는 다른 ETF를 권유해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와 같은 초보 ETF 투자자이시라면, 해당 ETF 상품을 구매하시기 전에 어떤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었는지 한 번쯤 살펴보시는 걸 권유해 드리겠습니다. 그래야만 손실이 발생해도 그 이유를 파악할 수 있고 앞으로의 전략을 계획 할 수 있기에 공부는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없으시다면 해당 SCHD 배당에 대해 자산운용사에서 설명해 둔 링크를 첨부해 드리니 최소 이 정보는 꼭 확인해 주시는 걸 권유드리겠습니다.
그러면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고 내일은 또 다른 ETF 소식으로 찾아뵐게요~
잠깐! 지난 시간에 작성한 jepi ETF가 궁금하시다면?
View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