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PI 배당 ETF가 궁금하신가요?
보시기 전에 1분 만에 정리된 내용을 보고 싶은 이웃님들께서는 빠르게 스크롤을 내리시어 제가 작성한 파워포인트와 파란색 글씨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높은 배당소득과 투자의 안정성을 동시에 찾고 계신 분들에게 흥미로운 선택지가 될 수 있는 JEPI ETF에 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최근 미국의 투자 시장에서는 배당소득을 통한 안정적인 수입원을 제2의 월급으로 여기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죠.
이 중에서도 JEPI(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하면서도 시장 변동성에 강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 ETF로, 특히 2020년 이후부터 우리나라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상품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JEPI 배당 ETF를 여러 방면에서 깊이 있게 분석하고, 그 매력을 여러분과 공유해보려 합니다.
JEPI 배당 ETF 특징 1 : 기본 정보 및 소개
기본정보
2024년 3월 8일 기준 주당 가격은 $54.14이며, 2024년 이후 수익률은 4.75%로 생각보다 높은 수익률을 거두고 있습니다. 총 보수 비용은 0.35%로 지난 시간에 설명드린 SCHD ETF보다 약 6배 높은 보수 비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JEPI는 미국 JP Morgon에서 제공하는 고배당 ETF로 2020년 5월 20일에 상장하였습니다. JP Morgon 자산 운용사에 대해서는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격정보
2024년 3월 8일 기준 주당 가격은 $54.14이며, 2024년 이후 수익률은 4.75%로 생각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총 보수 비용은 0.35%로 지난 시간에 소개드린 SCHD ETF보다 약 6배 높은 보수 비용으로 운용되고 있었습니다. 해당 보수 비용이 높은지 낮은지는 ETF 포스팅을 추가할 때 마다 정리해서 공유드리겠습니다.
거래 정보
Yahoo Financial 기준 거리량은 3,422,145로 측정 되었으며, 최근 3개월 거래량인 3,737,675와 비교 했을 때, 소폭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상장 주식수는 577,225,000주가 되겠습니다.
시장 규모 및 기타
시가 총액은 $32,982,64M 규모이며, 배당금 주기는 월별로 배당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배당일 2024년 3월 1일로 주당 $0.3009원이 배당 되었습니다.
JEPI 배당 ETF 특징 2 : 수익구조
JEPI ETF는 투자자에게 이중의 수익을 제공하는 독특한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전략의 핵심은 고배당 주식 선택과 커버드 콜 옵션 실행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있습니다.
배당금
JEPI ETF는 고배당 수익률을 자랑하는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에게는 안정적인 수익원이 마련되는 것이죠. 고배당 주식들은 대체로 재무적으로 안정된 편이며, 경제 상황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수익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커버드 콜 옵션
JEPI ETF는 자신의 포트폴리오 내에서 선별한 주식에 대해 커버드 콜 옵션을 매도합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 ETF는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얻게 됩니다.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수익원을 제공하는 방법이며, 주가 상승의 일부 잠재적 이익을 포기하는 대신, 시장 변동성에 상관없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커버드 콜 옵션의 경우 조금 더 쉬운 예시를 들어 설명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 들어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JEPI 배당 ETF 특징 3 : 섹터 및 주요 기업
섹터 구성
현재 JEPI의 섹터 구성은 IT, 헬스케어, 산업재, 금융, 필수소비재, 경기소비재, 통신서비스, 기타 순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2022년 섹터 구성은 산업재, 헬스케어, 금융, 필수소비재, IT, 유틸리티, 경기 소비재, 기타 순으로 구성 되어 있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섹터 구성과 비율이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아무래도 JEPI ETF의 경우 JP Morgon의 2명의 시니어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운영하는 만큼 다른 ETF에 비해 포트폴리오 구성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다는 점은 유념해야 할 것 같습니다.
SCHD ETF와 마찬가지로 부동산 섹터와 에너지 섹터는 경기 변화에 민감한 종목이기에 2024년도 섹터 구성에도 3%대의 낮은 섹터 구성 비율을 차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생각보다 다양한 섹터에 분산해서 투자된 만큼 경기 변동성에도 현명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요 기업 구성
주요 기업 TOP10의 구성 비율은 약 15% 정도로 SCHD와 비교했을 때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1.79%의 메타가 되겠습니다. 그 뒤로 프로그레시브와 트레인 테크놀로지가 1.72%로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트레인 테크놀로지의 경우 이번에 JEPI ETF를 공부하면서 처음 알게 된 기업으로 현재 기후 혁신을 통해 2030년까지 10억 메트릭 톤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가톤 챌린지를 추진하고 있는 기업인데,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브랜드와 제품에 긍정적인 환경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OP3 기업에 대한 설명은 상단 이미지를 참고 부탁드리겠으며, 해당 기업들에 대한 상세 분석은 추가 학습 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JEPI 배당 ETF 특징 4 : 배당 금액 및 성장률
배당금액 및 성장률 변화
2023년 배당 금액 부분에서 바라본 JEPI는 2022년과 비교했을 때 배당 성장률이 -23.84%나 떨어질 정도로 좋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2023년 3분기의 배당 금액의 합은 주당 1달러가 되지 몼했는데 이는 분기별 평균이 1.28달러였음을 생각할 때 너무 아쉬운 수치였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22년 4분기 최고점을 찍고 23년 3분기까지 배당금이 계속 하향되었는데 22년도 JEPI의 높은 배당금을 바라보고 투자한 분들에게는 지속 가능한 투자가치가 있을지 고민이 되셨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견해
JEPI는 커버드 콜 옵션이라는 특이한 옵션이 있기에 경기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매우 손해가 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2024년 현재 미국의 경기를 보면 실업률이 매우 낮고 경기 지수는 좋기에 금리 인하를 미루고 있는 추세이기에 24년 3분기 까지는 다른 배당 ETF를 투자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또 반대로 생각해 보았을 때 배당금은 지수와 상관 없이 꾸준히 모으는 게 중요하기에 나은 배당금액에 실망하지 않고 열심히 모으는 것도 추천해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례로 23년 4분기는 3분기와 비교했을 떄 12.61% 상승 했으며, 24년 1분기도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 하였기에 24년에는 23년보다는 더 좋은 수치가 나올 거라 생각됩니다.
JEPI 배당 ETF 특징 5 : 주식 성장률
2023년 1년간의 성장률은 0.98%로 소폭 상승하였기에 아쉬울 수도 있지만, JEPI ETF는 배당을 목적으로 하는 ETF이기에 주식 성장률이 낮게 측정되어도 크게 실망하지는 않았을 거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지난 1년을 돌이켜 볼 때 거의 수평적인 그래프임을 알 수 있었으며, JEPI ETF의 역대 고점과 역대 저점의 차가 주당 12달러가 되지 않는 만큼 올해도 큰 이변 없이 3% 오차범위 안에서 지수가 움직이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JETP 배당 ETF : 23년 모의 계산
1,000만원 투자 시 예상 되는 수익 금액은?
그러면 1,000만원을 JEPI ETF 구매를 했다면 예상되는 수익 금액은 어떻게 될지 단순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단순 계산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저번 시간에 설명해 드린 대로 증권사의 수수료에 따라 주식 매매 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며 원화를 미국 달러로 환산하는 과정에서도 증권사마다 차이가 크기에 단순 계산으로 표현하였습니다.
1,000만원을 2023년 1월 2일 환율인 1,273원으로 계산했을 때, 약 144개의 JEPI ETF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144개의 주식을 추가 매입 없이 1년간 운영하였을 때 분기별 수익 금액은 1분기 $205.63, 2분기 $177.84, 3분기 $142.27, 4분기 $160.12로 총합산 금액은 $685.86이 되겠습니다.
파킹통장과 비교 해 보았을 때?
현재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 높은 이율을 지급하는 파킹 통장인 미래에셋 네이버 통장과 비교해 보았을 때, 1,000만원 입금 시 매일 972원의 이자가 지급되며 이를 1년으로 환산하게 되면 354,780원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확인해 보니 최대 연 3.55%인 걸 알 수 있었습니다.
$685.86은 현재 환율로 계산하였을 때, 905,335원으로 계산되기에 약 550,555원 더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었는데, 역대 가장 적은 배당 상승률이었던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생각보다 높은 금액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미국 주식을 통한 배당금이기에 추가적인 세금을 납부해야하지만 고려해도 배당을 목적으로 한다면 매력적인 상품이라 생각됩니다.
주식 시세 차익은?
위와 동일한 조건으로 144개의 JEPI 배당 ETF를 23년 1월 2일 구매 후 24년 1월 2일 매각을 하였을 때 금액을 계산해 보면 매입 금액은 $7,843.68이 되고, 매매 금액은 $7,937.28로 약 $93.6의 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계산되었습니다.
1,000만원 투자 시 결론은?
배당금 계산과 주가 매매 차익을 고려해 보았을 때, 2023년 JEPI 배당 ETF 총수익은 $779.46으로 생각보다 높은 금액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JEPI ETF와 항상 비교되는 SCHD ETF와의 성장 금액을 생각했을 때 JEPI ETF가 더 높은 이익을 거둔 걸 알 수 있었는데, 투자 포트폴리오 섹터와 성장성 등을 고려해서 자신의 성향에 맞는 ETF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을 다시 가지게 되었습니다.
JEPI 배당 ETF : 수아네의 결론은?
JEPI 배당 ETF는 높은 배당 수익과 그리고 포트폴리오 구성의 다양화를 통해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가진 이웃님들에게 좋은 투자 상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커버드 콜이라는 고민이 필요한 옵션이 있기에 어려울 수도 있다고 생각이 되지만, 단순하게 은행의 예금보다 더 높은 배당 수익을 받고 싶고 원금 손실은 최소한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이웃님들께 적극적으로 권유해 드릴 수 있는 ETF 상품이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 JEPI ETF에 대해 투자를 해본 경험은 없지만, 이번 ETF 공부를 통해 SCHD ETF와의 비율을 조금 조정해 보는 것을 고민하고 있는데, 만약 투자 포트폴리오의 조정이 있을 경우 별도의 포스팅으로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고 다음에는 커버트 콜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잠깐! 지난 시간에 작성한 SCHD ETF가 궁금하시다면?
1 thought on “JEPI 배당 ETF 1분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