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시기 전에 시간이 바쁜 이웃님들께서는 빠르게 스크롤을 내리면서 굵게 표시된 내용만 읽으셔도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지난 시간에는 패스트코멧 웹 호스팅을 통해 자신이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고 SSL을 설정 하는 방법을 공유 드렸었는데요, 오늘은 PHP 서버 세팅과 패스트코멧 워드프레스 기본 설정을 하는 방법을 이어서 공유해 드릴게요. 편리한 패스트코멧 대시보드를 이용하면 금방 정리되는 만큼 빠르게 설명하겠습니다.
패스트코멧 워드프레스 서버 세팅하기
워드프레스 서버 세팅을 위한 PHP 설치는 패스트코멧 cPanel에서 Software 카테고리 중 Select PHP Version이라는 메뉴를 통해 진행할 수 있어요. 바로 설치 과정을 설명해 드려도 되지만 설치 이전 PHP를 왜 설치해야 하는지부터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PHP는 무엇인가요?
PHP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만들 때 사용되는 컴퓨터 언어입니다. 웹사이트에서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처리하거나, 블로그 방문자에게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작성한 내용을 보여 주는 것 등이 활동을 PHP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쉽게 표현하면 PHP 없이 워드프레스를 이용한다면 단순하게 텍스트만 노출된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아요. 그러면 설치 방법을 이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Select PHP Version 클릭
cPanel에서 Sofrware 카테고리의 메뉴인 Select PHP Version 메뉴를 클릭 해주세요.

PHP 기본 정보 세팅
다양한 설정값이 있지만, 저희는 서버 전문가가 아니기에 현재 설정된 기본값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 드리겠으며, 딱 4가지 설정값만 변경하시면 되겠습니다.

Current PHP Version, date.timezone, max_execution_time, max_input_time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 주세요.
- Current PHP Version : 8.2 (최신버전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 date.timezone : Asia/Seoul (나라에 맞는 국적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max_execution_time : 3,000 (PHP 스크립트가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는 최대 시간이에요)
- max_input_time : 3,000(PHP 스크립트가 입력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허용되는 최대 시간이에요)
도메인에 패스트코멧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
이제 마무리 단계로 도메인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단계만 남았습니다. 이 부분은 설정할 내용이 조금 많으니 집중해 주세요!
WordPress 클릭
cPanel에서 화면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Script 카테고리에 있는 WordPress 메뉴를 클릭 후 install now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Worepress 기본 설정
해당 화면에 다양한 설정값이 있지만 저희는 Software Setup, Site Settings, Admin Account, Choose Language 메뉴에 집중하면 되겠습니다.

Choose installation URL
- SSL 유무 설정 : SSL을 설치하셨다면 https를 선택하시면 되겠으며,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http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www가 표시된 메뉴와 www가 표시되지 않은 메뉴도 선택할 수 있지만 결론적으로 어떤 메뉴를 선택해도 같은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 도메인 설정 :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 중 사용하실 도메인을 선택해 주세요.
- 디렉터리 설정 : 메인 페이지 진입 시 노출되는 경로를 선택하는 메뉴로 일반적인 사이트와 동일하게 빈값으로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 워드프레스 버전 설정 : 워드프레스의 버전은 사이트의 보안 부분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이 부분은 고민하지 마시고 가장 최신 버전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Site setting
이 메뉴는 사이트의 이름과 설명을 검색 포털에 노출하는 설정 영역으로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에서 제가 자주 사용하는 나무위키를 검색해 보면 아래와 같이 노출되는데, 이 중 붉은색 테두리 영역이 Site name이 되겠으며, 연두색 부분이 Site Description이 되겠습니다.

해당 메뉴를 통해 자신이 운영할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정체성이 결정되는 만큼 조금은 신중하게 작성하시는 것을 권유해 드릴게요.
Admin account setting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을 위한 관리자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로 너무 대중적인 계정 정보는 피하시는 것을 권유해 드리겠습니다. 특히 비밀번호를 설정했을 때 해당 비밀번호의 보안 정도가 점수로 노출되는데, 최소 70점 이상의 점수를 가진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권유하겠습니다.
Choose Language setting
저희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인 만큼, 고민하지 말고 Korean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Select Plugin setting
패스트코멧을 이용할 경우 기본적인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플러그인을 모두 설치하셔도 문제가 될 것이 없지만 저희는 워드프레스 관리자 메뉴를 통해 이미 검증된 좋은 플러그인을 사용할 예정이므로 이번에는 설치없이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패스트코멧 워드프레스 설치 하기
화면 하단 install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설치가 진행되겠으며, 저 같은 경우에는 10초 만에 설치가 완료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최종 도메인의 주소와 관리자 도메인의 주소 화면이 노출되며 클릭 시 아래와 같이 wordpress 기본 노출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패스트코멧 워드프레스 블로그 설치 포스팅을 마치며
최근에 테스트를 위해 cafe24 웹호스팅을 설치 하였었는데, 해당 방식과 비교했을 때는 조금은 시간이 더 걸리긴 하였지만 그래도 완료 시점까지 큰 차이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패스트코멧 워드프레스를 제가 직접 설치를 진행하다 보니 별도의 설치비를 받지 않았는데 5분 만에 설치할 수 있는 간단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cafe24 웹호스팅을 통해 워드프레스 설치 시 지불한 비용이 조금은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저의 수고스러움을 덜어 주었으니 돈을 지불하는 게 당연하지만, 이 정도는 무료로 제공해도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건 지울 수 없는 것 같아요)
다음 시간에는 워드프레스 블로그 관리자 화면에 접속해서 최초 어떤 정보들을 설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왜 블로그 글 쓰는 것 이전에 최초 설정부터 확실하게 진행해야 하는지를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일 서울의 한낮 기온은 20도가 넘는다고 하네요. 모두 가족과 함께 즐겁고 행복한 주말 보내시길 바라며, 오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잠깐! 지난 시간에 작성한 ‘패스트코멧 도메인 연결 및 워드프레스 설치 1탄‘ 포스팅이 궁금하시다면?
1 thought on “패스트코멧 워드프레스 설치 및 도메인 연결 2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