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코멧 도메인 연결과 워드프레스 설치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보시기 전에 시간이 바쁜 이웃님들께서는 스크롤을 내리면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내용만 읽으셔도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번 시간에 소개해 드린 패스트코멧 호스팅 서비스를 바탕으로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법까지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CAFE 24 웹 호스팅 서비스와 다르게 모든 인터페이스가 영어로 되어있어 조금은 부담스러워하실 수도 있지만, 패스트코멧의 쉬운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면 오히려 더 쉽게 작성하실 수 있답니다!
지금부터 패스트코멧 도메인 연결 과정부터 단계별로 설명해 드릴게요.
페스트코멧 도메인 연결하기
지난 시간에 소개해 드린 대로 도메인 구입은 패스트코멧 사이트보다 국내 호스팅 사이트에서 구매하시는 게 훨씬 저렴해요. 저의 경우 테스트를 위해 호스팅케이알이라는 사이트에서 낙장도메인을 구매하였으며, 낙장 도메인에 대한 소개는 차후 다른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릴게요.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면 패스트코멧 사이트에서 도메인을 구매할 경우 호스팅과의 도메인 연결은 훨씬 쉬우니 이점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View DETAILS 클릭
관리자 페이지 홈 영역에서 ‘View Details’ 버튼을 눌러 ‘Account Info’ 팝업을 확인해 주세요.
네임 서버 정보 복사
Account Info 팝업을 통해 네임서버, 서버 아이피, FTP 정보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는데, 이 중 도메인 연결 시 필요한 정보는 네임서버 정보가 필요해요. 화면 좌측 상단 네임서버1 정보와 네임서버2 정보를 복사해 주세요.
도매인 구매 사이트 접속
각자 구매하신 도메인 사이트의 관리자 페이지를 접속해주세요. 제가 구매한 호스팅케이알 사이트 기준으로 설명 드리자면 화면 상단 ‘네임서버/DNS’ 탭을 클릭 후 화면 우측 연필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 주세요.
도메인 정보 입력
패스트코멧 관리자 페이지에서 복사한 네임서버1 정보와 네임서버2 정보를 영역에 맞춰 입력해주신뒤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후 화면에서 OK 글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눌러 주시면 도메인 연결이 절차가 마무리 되겠습니다.
도메인 연결 확인
구매하신 도메인 주소를 주소창에 입력 하시면 ‘Welcome to FastComet!’이라는 반가운 화면을 만나 보실 수 있으며, 도메인 연결이 정상적으로 처리 된 것을 알 수 있겠습니다.
페스트코멧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cafe24 웹호스팅의 경우 자동으로 설치를 해주지만 패스트코멧은 직접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요. 하지만 무료로 설치 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가 너무 쉬워서 누구나 5분이면 설치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Access cPanel 버튼 클릭
관리자 페이지 홈 영역에서 Access cPanel 버튼을 누른 뒤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관리자 비밀번호는 로그인 시 입력하는 비밀번호와 동일합니다. 참고로 cPanel은 웹 호스팅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도구로써 이메일, 파일, 데이터베이스, 도메인, 보안, 소프트웨어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라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절차는 보안 메뉴의 SSL 설치, 데이터 베이스 구성을 위한 PHP 설치 그리고 워드프레스 설치가 되겠으며, 나머지 구성 메뉴들에 대해서는 추후 하나씩 소개드리겠습니다.
Lets Encrypt SSL 버튼 클릭
cPanel에 접속 하시면 수많은 관리도구가 보이는데, 우선 ‘Lets Encrypt SSL’ 버튼을 클릭 하시어 SSL을 설치해 줄께요.
SSL 설치는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술로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하는 절차에요. SSL 설치 시 SEO 점수가 올라가기에 무조건 진행 해야 하는 절차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Issue 버튼 클릭
화면 중앙에 보이는 ‘Issue’ 메뉴를 클릭 후 ‘Issue’ 버튼을 한 번 더 클릭해 주세요. 중간 중간 보이는 설정 메뉴는 최초 기본값 상태를 유지하시면 되겠으며, 설치 완료 시 아래와 같은 성공 메시지를 확인 하실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성공 메시지가 노출되어도 실제 도메인에 적용까지는 3~5분정도 소요되니 이점 유의해주세요!
도메인 접속
SSL 등록 여부 확인은 웹 브라우저 좌측 상단 아이콘을 확인 하시면 되겠습니다. 구매하신 도메인을 접속 하실 경우 SSL 적용 전에는 주의 요함이라는 글씨가 노출 되었지만, SSL 등록 이후에는 화면과 같은 아이콘이 노출되거나 자물쇠 아이콘이 노출 되겠습니다.
패스트코멧 도메인 연결 및 워드프레스 설치 포스팅을 마치며
하나의 주제에 대해 2개의 포스팅으로 나누는것을 선호하지 않지만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너무 지체되어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 해야 할 것 같아요. 참고로 개인 메일로 워드프레스 설치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진행한 것에 대해 진위 여부를 물어보시는 이웃님들이 계시는데요, 진짜로 설치하고 운영하는게 맞습니다.
다만, 제가 비개발자 출신으로 워드프레스를 능수능란하게 다루지 못해 다양한 강의를 듣고 직접 하나하나씩 따라해보면서 진행 중인데, 어떤 강의를 수강했는지 궁금하시는 이웃님들을 위해 추후 별도의 포스팅으로 정리해서 정리해 드리려고 합니다.
참고로 저는 인프랩, 콜로소, 유튜브, 유데미 등에서 워드프레스 강의를 듣고 있으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강의를 듣다보니 다양한 호스팅 서비스를 접하게 되는 것 같아 개인적으로 발전이 되는 느낌이에요!
그럼 다음 시간에 패스트코멧 도메인 연결 2탄 포스팅을 돌아올 것을 약속드리며,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잠깐! 지난 시간에 작성한 JEPI 배당 ETF 1분 정리 포스팅이 궁금하시다면?
1 thought on “패스트코멧 도메인 연결 및 워드프레스 설치 1탄”